본문 바로가기

대법원인명용한자

지언,정언,시언-'언'자 자원오행 인명용한자

 

 

지언/정언/시언/송언/솔언/윤언/창언/진언/찬언/채언/준언 등과 같이

'언'자를 사용하여 작명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대법원 인명용 한자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가끔 자원오행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라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작명이나 개명을 하는 경우에는 사주에 좋은 기운=희신,용신 기운을 들어간 한자로 작명하는 것은 기초적인 사항입니다

 

사주를 보지않고 작명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 한자 모두에는 자원오행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작명을 하는 경우에 사주를 분석하여 좋은 기운을 가진 한자로 작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한자 뜻이 좋은 한자를 이름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鼹(두더지 언)자입니다. 설마 이러한 한자를 자녀 이름을 짓거나 본인 이름을 개명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분들은 없겠지요. 대법원 인명용 한자라고 하여도 뜻이 좋은 경우에만 이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분             자원오행         수리 획수          한자 뜻

    

-彦(선비언)      화오행           9획             선비 언/ 클 언/ 뛰어날 언

 

-偃(쓰러질 언)  화오행           11획            쓰러질 언(사용불가)

 

-焉(어찌 언)     화오행           11획           어찌/어조사 언(사용불가)

 

-傿(나라이름)   화오행           13획       나라이름/고을 이름 언

 

-堰(방죽 언)     토오행           12획       방죽/보/막을 언(사용불가)

 

-嫣(예쁠 언)     토오행           14획       예쁠/아름다울 언

 

-鄢(나라이름)    토오행          18획      나라이름/고을이름 언

 

-言(말씀 언)      금오행           8획       말씀/언어 언

 

-諺(상소리 언)   금오행          16획       상말/속담 언(사용불가)

 

-讞(평의할 언)    금오행          27획       평의할 언/정직할 언

 

-匽(엎드릴 언)    수오행          9획         엎드릴/숨길 언(사용불가)

 

-鼴(두더지 언)     수오행         22획       두더지 언(사용불가)

 

-鼹(두더지 언)     수오행         23획       두더지 언(사용불가)

 

 

 

한자 획수와 성명학 획수와는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鄢(나라이름)자는 한자 획수로는 14획이지만 성명학 획수는 18획입니다. 나라 이름 언자는 고을 읍변으로 계산하므로 18획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