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명학, 작명법

자획자원오행 성명학-성명학 종류(4)

 

 

작명법에는 다양한 주장이 있습니다. 오늘은 자획자원오행 성명학에 대하여 기술합니다. 자획자원오행과 자원오행을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곧을 ()의 자획자원오행은 인()목입니다. 곧을 정자의 자원오행인 수오행과는 전혀 다른 성명학 이론입니다.  

 

가끔 자획자원오행을 설명하면 곧을 정자가 자원오행상 수오행인데, 왜 자획자원오행을 인목오행이냐고 문의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곧을 정자가 자원오행상 수오행을 모르는 작명가가 있나요,

 

 

자원오행 작명법과 자획자원오행 작명법은 전혀 다른 성명학 이론입니다

 

 

1)생년 지지와 첫 번째 이름(자획자원오행)이 상충해서는 안됩니다.

 

)병오(丙午)생 여자/ ()-자획자원오행 인()목, ()자의 자획자원오행은 사오(巳午)입니다.

 

吳涏瑗(오정원); ()자의 자획자원오행은 ()으로 병오생와 충이 되지않는 좋은 이름입니다. 만약 원숭이띠생인 경우에는 원숭이띠와 곧을 정자의 자획자원오행은 인목오행으로 인신충하여 좋지않은 이름이 됩니다.

 

2)생년 지지와 첫 번째 이름(자획자원오행)이 원진되어서는 안됩니다

 

吳涏瑗(오정원); ()자의 자획자원오행은 ()으로 병오생와 원진이 되지않는 좋은 이름입니다. 그러나. 닭띠생인 경우에는 곧을 정자의 자획자원오행인 인목오행과 인유 원진살이 되어 좋지않은 이름입니다.

 

3)생년 지지와 첫 번째 이름(자획자원오행)이 고장(庫藏)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자는 인목으로 고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정자는 11획으로 병()으로부터 11번째는 병화(병정무기경신임계갑을병)에 해당하는데 정자는 인목으로 병화에 장생지에 해당하므로 좋은 이름입니다

 

4)첫번째 이름 획수에 따른 생년지지의 천간 정록과 상충불허

 

곧을 정자는 11획으로 11번째는 병화(병정무기경신임계갑을병)에 해당하는데 병화의 정록(正祿)은 사화인데, 사화와 정자의 자획오행 인목은 상충하지 않으므로  좋은 이름입니다

 

천간

 

5)첫번째 이름과 두 번째 이름의 자획자원오행이 상충이 되면 자식과 불화/반목이 발생한다.

 

()-자획자원오행 인()/ ()자의 자획자원오행은 사오(巳午)으로 상충하지 않으므로 자식과 인연이 좋은 이름입니다.

 

6)첫번째 이름 자획자원오행이 유년 운세와 상충하는 경우에는

이사를 통하여 모면할 수 있다. 2014년 갑오년은 ()-자획자원오행 인()목과 상충하지 않으므로 좋은 유년운세입니다.

 

 

 

지금까지 자획자원오행 작명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성명학 종류에는 다양한 이론이 있습니다. 가능하면 다양한 성명학을 고려하여 작명하면 더 좋은 이름이 되지않을까요..